[2021 정보처리기사 필기] 모듈의 품질(결합도 & 응집도)
목차
[정보처리기사 1과목 필기 예상 키워드] 목록으로 돌아가기 |
|
과목: 1. 소프트웨어 설계 챕터: 3장 어플리케이션 설계 키워드: 모듈의 품질(결합도, 응집도) |
#모듈의 품질 #결합도, 응집도 #효과적 모듈 설계 방안 |
모듈의 품질(결합도 & 응집도)
모듈(Module)의 개요
모듈은 모듈화를 통해 분리된 시스템의 각 기능들로, 서브루틴, 서브시스템, 소프트웨어 내의 프로그램, 작업 단위 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.
특징
- 모듈은 단독으로 컴파일이 가능하며, 재사용 할 수 있다.
- 모듈의 기능적 독립성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기능이 서로 독립됨을 의미하는 것으로,
모듈의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고 다른 모듈과의 과도한 상호작용을 배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.
- 독립성이 높은 모듈일수록 모듈을 수정하더라도 다른 모듈들에게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,
오류가 발생해도 쉽게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다.
모듈의 결합도(Coupling)과 응집도(Cohesion)
1. 결합도(Coupling)
① 공통 모듈 간의 연관관계
② 낮을수록 품질이 좋음
= 만약 모듈 A와 B가 어떤 일을 할 때 서로가 반드시 필요하다면, 이 둘은 당연히 붙어있어야 한다
= 모듈간 상호 의존(영향을 미치는) 정도 = 결합도
2.응집도
① 공통 모듈 내부 클래스 간의 유기적 관계
② 높을수록 품질이 좋음
= 내부 요소들 끼리도 관련성을 판단하여 서로 기능 간섭이 없게끔 한다
= 내부 요소들끼리의 관련 정도 = 독립적인 기능으로 정의되어 있는 정도 = 응집도
따라서 결합도가 약하고 응집도가 강할 수록 = 독립성이 강하며
독립성이 높은 모듈일 수록 재사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므로 = 모듈의 품질이 좋아진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2Oywq/btq0EDkCCqy/xM6gLhXvDQpyIYRNQpZ7p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WTA3X/btq0NvMBr9r/APINAGTWgMD7CwVWRUSRs0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p1pM/btq0MUyYDmY/toSsZrIyKDk0brBoMLcMzk/img.png)
응집도는 공통 모듈 내의 클래스들이 외부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얼마나 서로 클래스들끼리 내부적으로 연계되어 수행되는지에 대한 정도를 뜻한다.
효과적인 모듈 설계 방안
1. 결합도 약하게 + 응집도 강하게 = 독립성 높게 = 재사용 및 유지보수 용이 = 품질↑
2. 복잡도 낮게 + 중복성 낮게 + 하나의 입출력 = 단순 = 품질↑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Fth4/btq3EuZm19S/lMThpVchvYWoukGaLv6qG1/img.jpg)
[2021 정보처리기사 키워드 정리] 1. 소프트웨어 설계 (상시업데이트)
[2021 정보처리기사 키워드 정리] 1. 소프트웨어 설계 2021년 정보처리기사 공부를 위해 각 과목/챕터 별 Best 키워드를 정리해 놓은 글입니다. 시나공 문제집의 기출빈도와 중요도를 기준으로 정리
y-oni.tistory.com
참고: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(저자: 강윤석, 김용갑, 김우경, 김정준 | 출판사: 길벗), 유튜브 주간컴공TV