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작업환경을 WSL로 사용할 경우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/home 내에 위치시킵니다.
예를 들면 Java Workspace 디렉토리를 WSL에서 윈도우 시스템에 마운트하여 접근하는 디렉토리가 아닌 (/mnt)
리눅스 서브시스템 디렉토리 내에 위치시켜줘야 합니다. (/home/(유저이름)/프로젝트폴더)
제가 이걸 몰라서 거의 5시간동안 원인 모를 컴파일 오류와 씨름을 했는데요^^
.java 컴파일 시 윈도우와 WSL에 각각 지정된 OpenJDK Path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였습니다.
환경변수에서 윈도우 것을 무시하고 WSL 지정 경로만 인지하게 설정해 놓을 수도 있지만
저는 그냥 간단하게 WSL 내에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모든 깃 리포지토리를 클론해놓았습니다.
WSL 내 디렉토리에서 VSC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JAVA[WSL: UBUNTU-20-04] 로 개발환경이 세팅되며
이에 따른 Java Extension도 WSL 용으로 새로 설치합니다.
이렇게 하면 WSL로 접근하지 않는 이상 윈도우와 무관한 환경에 작업디렉토리가 있기 때문에 평소 PC환경을 더욱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. 백업은 GitHub 원격 리포지토리에 진행해놓습니다.
728x90
'STUDY LOG > 앱 | 툴 | 플러그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🧙♂️ [앱/툴 꿀팁] 협업툴 컨플루언스, 팀 스터디 툴로 활용하기 (0) | 2021.10.25 |
---|---|
[비주얼 스튜디오 코드] WSL2에서 VcXsrv X Server 사용하기(Java 팝업 다이얼로그 띄우기) (1) | 2021.05.25 |
[Ubuntu 커스터마이징] Oh-My-Zsh 디폴트 .zshrc 템플릿 코드 (0) | 2021.05.24 |
[앱/툴 꿀팁] 노션(Notion)에서 코넬 필기법(Cornell Note System) 활용하기 (2) | 2021.05.23 |
[앱/툴 리뷰] 가성비 좋은 모니터 LED 바 조명, Compass Wide Bar (2) | 2021.05.20 |